TIL 2

23/04/13/Thur

TIL을 깃(GIT)으로 옮기려고 준비중이다. 이유는 깃이 아무래도 프로그래머들이 이용하는 저장소다 보니까, 교류도 많고 깃을 집중적으로 쓰기 위해 (그리고 잔디밭을 만들기위해) 많이 써봐야 할 것 같아서이다. 1.morgan이라는 외부 미들웨어를 코드에 넣는 것에 대해 배웠다. 2. 어제 배운 내용을 복습했다. 서버는 언제나 request를 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 이 request의 대표적인 행동은 홈페이지 주소(url)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다. 이런 url이 일종의 문의 역할을 하고 이런 것들을 라우츠(routes)라고 한다. 등등... 3. CSS 그리드 복습을 할겸 새로운 홈페이지를 클론 코딩했다. 그리드 내부에 그리드를 넣는 일종의 NESTING 개념을 적용했는데 그런대로 잘 적용이 되는 ..

TIL 2023.04.13

23/04/12/WED

1. 듣고 있는 인강에서 백엔드 파트를 공부중이다. 노마드 코더 사이트에서 유튜브 클론 공부 강의를 듣고 있다. 현재 nodeJS에 EXPRESS를 사용하고 있다. * 서버는 브라우저에서 보낸 request를 받고 response를 보낸다. * 서버가 이런 정보를 받으려면 port(일종의 문)를 사용해야 한다. * 서버는 request를 받으면 반드시 respnse를 해줘야지 안그러면 브라우저 무한 로딩이 될 수 있다. * 미들웨어(Middleware)를 추가할때 신경써야 할 점은 request와 response뿐만 아니라 next 파라미터로 갖는다! 게다가 다음으로 넘긴다는 의미로 'next()'를 꼭 기록해줘야 한다. * 종료함수에서는 필요없으니 next 파라미터를 넣을 필요가 없고 return으로 ..

TIL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