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냥 공부하면 재미가 없으니 게임에서 캐릭터가 성장하듯이 내 자신을 측정해보기로 했습니다.
기준은 다음과 같이 잡았습니다.
몬스터를 잡아서 경험치를 올릴 수는 없으니 '시간만 들이면 경험치를 얻는 방치형 게임이다' 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경험치 획득 기준표>
카테고리 | 경험치 획득이 가능한 행동 | 획득 경험치 |
비 고 | |
기본 | 공부하기 | 1점 | 시간당 1점이다. (강의 듣기/관련 정보검색/코딩 포함) |
|
퀘스트 | 기술 블로그를 작성하고 업로드하자 | 1점 | 블로그 작성을 유도하고자 보너스 경험치 퀘스트 추가 | |
기술서적을 읽자! | 난이도 하 (얇다) | 8점 | 기술책 읽기를 유도하고자 보너스 경험치 퀘스트 추가 | |
난이도 중(중간) | 10점 | |||
난이도 상(두껍다) | 12점 | |||
강의를 끝까지 완료하자! | 난이도 하 (짧은 강의 - 10시간 미만) | 3점 | ||
난이도 중 (보통 강의 - 30시간 미만) | 5점 | |||
난이도 중 (긴 강의 - 30시간 이상) | 10점 | |||
기술 유튜브 영상을 보자 | 0.5점 | |||
프로젝트 개발을 해보자! | 난이도 하 (small, only client) |
5점 | ||
난이도 중 (medium, only client) |
10점 | |||
난이도 상 (medium, client+server) |
20점 | |||
난이도 특상 (large, client+server) |
30점 |
* 무식하게 공부시간을 측정해서 1시간당 경험치 1점이라는 점수를 부여했습니다.
* 최대값은 1만시간 법칙을 참고(일단, 기본은 시간베이스이므로)해서 10,000점을 얻으면 만렙(=100레벨)이라고
설정했습니다.
* 그냥 공부시간만 재면 동기부여가 잘 안될 것 같아서 게임의 퀘스트와 같이 퀘스트 항목을 두었고
그것을 완료하면 추가 경험치를 주기로 했다.
* 획득 점수는 어떤 기준으로 세웠을까요? 제 마음입니다. 😁😁😁
제가 만든 성장 곡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때요? 그럴듯 하지 않나요? (저만 만족하고 있습니다)
위의 기준으로 산정한 저희 현재까지 상황입니다.
공부한 내용 | 획득 경험치 |
유데미(웹부트캠프 수강 ) | 31 |
유데미(문벅스 자바스크립트 수강 ) | 7 |
인프런 (맛집 지도 만들기 수강) | 4 |
BTS 소개 페이지 제작 | 5 |
글자계산기 제작 | 5 |
기술서적 완독 (성공하는 프로그래밍 공부법) | 10 |
기술서적 완독 (혼공얄코) | 10 |
생활코딩 완강 (html) | 5 |
생활코딩 완강(css) | 5 |
생활코딩 완강 (javascrpit) | 8 |
현재 총 90점이고 현재 9레벨이네요! 초보자 마을에서 놀고 있습니다!
만렙이 되려면 91레벨업을 해야 하네요!!

그래도 이렇게 가시적으로 수치화하면 레벨업을 하려고 노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기타 : 보완이 필요한 부분
- 난이도별 부여 점수에 대해 밸런싱이 필요합니다.
- 타이머 기준 추가 (이것을 언제까지 달성할지 기한을 정해야겠습니다)
- 레벨업 보상 추가 (지르기를 정당화 합시다)
'코딩 독학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마지막 날에 (0) | 2023.01.31 |
---|---|
2023년 코딩 공부 계획을 세우다 (0) | 2022.12.30 |
자바스크립트 산을 어떻게 넘어야 하나? (0) | 2022.12.21 |
그간 혼자 아등바등했던 시간들 (0) | 2022.12.14 |